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그때는 정말 반성했는데, 왜 또 같은 실수를 할까?”

    — 감정 하이재킹과 뇌의 메커니즘을 통해 보는 부부 갈등의 진짜 이유

     

    “진심으로 미안했어요. 다시는 안 그런다고 생각했어요.
    근데 이상하게, 또 그 말이 나오더라고요.”

    이 말은 채널A 이혼숙려캠프에 출연한 한 부부의 남편이 심리극이 끝난 후, 눈물을 흘리며 했던 말입니다.
    아내의 입장에서 자신이 한 행동을 배우 박하선·진태현 커플이 대신 연기하자,
    그는 고개를 들지 못한 채 눈물을 흘렸습니다.
    하지만 다음날, 숙소에서 두 사람은 또다시 말다툼을 시작했고
    그 남편은 또 예전처럼 “너도 잘한 거 없어”라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그렇다면 질문이 생깁니다.
    그 눈물은 가짜였던 걸까요?
    반성은 쇼였던 걸까요?
    아니요. 그 감정은 진짜였지만, 뇌는 변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감정 하이재킹(Emotional Hijacking)이란?

     

    ‘감정 하이재킹’이란, 강한 감정이 들 때 편도체가 뇌 전체를 장악해버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 이성적 판단과 자기조절을 담당하는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잠시 동안 ‘꺼지다시피’ 하며, 뇌가 감정적으로만 반응하게 됩니다.

    이 용어는 감정지능(EQ)의 창시자인 다니엘 골먼(Daniel Goleman)이 《Emotional Intelligence》에서 소개했습니다.
    그는 “강한 감정은 사고 회로를 우회하며 인간을 반응적으로 만든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이혼숙려캠프' 프로그램의 출연자들을 관찰해봐도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혼숙려캠프에서 보여준 감정 하이재킹의 전형

     

    이혼숙려캠프에 나오는 부부들은 대부분 “나는 진심으로 잘하려 했다”, “그럴 의도가 아니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심리극에서 자신의 행동이 타인의 연기로 재현되는 순간,
    감정은 폭발하고, 뇌의 이성적 회로가 다시 작동합니다.

    • “내가 저렇게 무심했구나...”
    • “아, 저 표정... 저 말투...”
    • 거울뉴런 작동 + 감정이입 → 반성 유도

    이때는 편도체가 조용해지고, 전전두엽이 다시 작동하는 구간입니다.
    그러나 다음날 다시 자극이 오면, 감정 하이재킹은 재발합니다.

    “너는 늘 그래.”
    “내가 뭘 그렇게 잘못했는데?”
    “됐어. 그만해.”

     

    결국, 이전과 똑같은 말, 똑같은 싸움, 똑같은 후회가 반복됩니다.

     

    🔍 왜 이런 일이 반복될까?

    1. 뇌는 변화를 싫어하고 반복을 좋아한다

    뇌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익숙한 회로를 반복합니다.
    한 번 형성된 갈등 반응 방식은 ‘자동 루트’처럼 작동하며, 반성 한 번으로는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2. 감정은 진짜지만, 지속되진 않는다

    심리극에서는 감정적 반성이 일어나지만, 공간과 맥락이 바뀌면 감정은 사라집니다.
    → 집에 돌아오면 기본모드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가 작동하면서, 다시 자기중심적 사고로 복귀됩니다.

     

    그럼 계속 제자리만 맴돌 것인가?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 해결방법들은 무엇일지 살펴보겠습니다. 

     

     

     

     

     감정 하이재킹을 줄이는 실전 방법

    1. 3초 멈춤 – 감정이 올라올 때 말 대신 심호흡
    2. 트리거 파악 – 어떤 자극에서 내가 격해지는지 분석
    3. 감정 복기 – 갈등 이후 ‘왜 그랬는지’ 정리하는 습관

     

     감정은 순간, 변화는 훈련

     

    이혼숙려캠프를 보며 사람들은 종종 묻습니다.
    “반성했는데 왜 또 싸우지?”
    “저 눈물도 쇼였던 거 아냐?”

    하지만 아닙니다.
    감정은 진짜였고, 뇌의 훈련이 없었을 뿐입니다.
    변화는 감동이 아닌 반복 가능한 시스템과 훈련에서 나옵니다.

     

    감정훈련_AI이미지생성

     

    참고 출처

    • Daniel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 채널A 이혼숙려캠프
    • Harvard Health Publishing,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Brain
    • UCLA Brain Research Institute

     

    마무리 멘트

    감정은 우리를 흔들지만, 훈련은 우리를 바꿉니다.
    반성은 마음에서 시작되지만, 변화는 습관에서 완성됩니다.
    이제는 감정에 휘둘리는 내가 아니라, 감정을 훈련하는 내가 되어야 할 때입니다.

     

     

    2025.05.18 - [분류 전체보기] - 이혼숙려캠프_ '진심'만으로는 안 되는 이유(뇌의 반복회로)

     

    이혼숙려캠프_ '진심'만으로는 안 되는 이유(뇌의 반복회로)

    1. 왜 우리는 ‘부끄러움’을 느끼고도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는가? “그 순간에는 분명 부끄러웠다. 진심으로 반성했고, 다시는 그러지 말자고 다짐도 했다.그런데 며칠 지나고 나면,나는 또 예

    negen17.com

     

     

     

    반응형